티스토리 뷰

심리 공부

심리학_11강_상담의목표

Grace-J 2019. 2. 26. 06:51
반응형

<심리학_11강_상담의 목표>

* 상담의 일차적인 목표

- 무엇보다도 내담자가 고민하고 있는 문제가

잘 해결되도록 돕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상담의 목표는

내담자의 호소문제에 따라서 유목화할 수 있을 것이다.


Shertzer(셔져)와 Stone(스톤)(1966)은

상담활동의 일반적인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상담목표 1. 내담자의 행동변화

- 상담을 통하여 내담자의 행동을 변화시킨다 하더라도

그 행동은 타인과의 관계, 가족상황,

학업 성취, 직업상의 적응, 일상생활 습관 등과 같이


어떠한 영역에 관련된 행동 변화가 필요한가

중심으로 상담의 목표를 진술할 수 있다.


- 즉 여기서 말하는 행동이란

건전한 성장과 발달에 지장을 주고 있는 

일체의 행동을 말한다.

상담목표 2. 내담자의 정신건강 증진

-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책임감있고 독립적이며 인격적으로 성숙하다.


- 그러므로 정신건강을 촉직한다는 것은

적극적이고 현실적이며 합리적인 성격을

형성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상담목표 3. 내담자의 문제해결

- 상담의 목표는 내담자가 갖고 오는 문제가 무엇이건

이를 해결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상담목표 4. 내담자의 개인적 효율성 향상

-상담의 목표로 효율성을 강조하는 것은

어떠한 행동의 능률성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 상담을 통하여 다양한 문제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문제를 정확히 인지하고 주어진 역할을 일관성있게 수행하며

자기 자신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상담목표 5. 내담자의 자율적 의사결정의 조력

- 상담에서는 상담자가 어떤 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가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 상담자 본인의 상식, 지식, 경험이 동원되면 안좋다.

* 상담의 3가지 방법

1. 상담자 중심의 지시적 상담 (directive counseling)

- 상담자의 작용이 강하다.

- 면접 전에 상담자는 상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두고

대화소에서 여러가지 힌트를 주고, 조언을 한다.


면접 상대는 이를 참고로 최종적으로

자신의 판단으로 결정한다고 하는 방법이다.


- 상대가 적절한 판단을 위한 전문지식과

넓은 분야의 지식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 상담자에게 의존한다던지 

주체성과 책임의식을 키우기 어렵다는 약점도 있다.

2. 내담자 중심의 비지시적 상담 (non-directive counseling)

- 이것은 내담자 중심의 직업상담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담이라고 하는 경우는 

이 비지시적 상담을 지칭하고 있다.

3. 상황대응, 절충적 상담

- 지시적, 비지시적 상담의 절충적 상담이다.

-문제의 고민에 따라 또 상황에 따라 

비지시적 원조와 지시적인 조언의 쌍방을 구분해서 사용


- 틀에 구애받지 않는 실제적인 입장에 서는 것으로

직업상담사와 학교 교사 등 실무에 종사하는 사람의 활용에 적합

* 상담과 생활지도, 심리치료와의 비교

- 상담은 생활지도 및 심리치료와 많이 혼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생활지도는 주로 학교에서 사용되는 '교육적 용어'이고,

심리치료는 병원에서 사용되는 '치료적 용어'라고 볼 수 있다.


1. 생활지도는 학생들로 하여금 

생활에서 만족할만한 적응을 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데에

목적을 둔 학교 전체의 활동과 봉사 프로그램이다.


2. 상담은 생활지도의 일부분으로 간주된다.


3. 심리치료는 개인의 성격에 깊이 관여하고

심각한 행동 교정에 관심을 두고 있다.


4. 상담의 대상자는 정상인이지만

심리치료의 대상자는 심리적 장애자이다.


5. 상담은 주로 현재의 의식적 자료에 기초를 두고 있다.

6. 심리치료는 무의식적 과정에 의존하는

역사적, 상징적 자료를 중시한다.


7. 상담은 대학, 지역 봉사기관, 각급 학교, 교회에서 실시되나

심리치료는 병원과 진료기관에서 실시된다.


8. 심리치료는 상담보다 더 장기간이 소요된다.


9. 상담은 개인으 명확한 정체감 형성을 조력하지만

심리치료는 개인의 내제적인 갈등을 다룬다.


 구분

 생활지도

 상담

심리치료 

대상 

소속인원 전부 

개인내담자, 소집단 

개인환자, 소집단 

 목표

바람직한 생활과정과

성장 발달의 지도 

구체적 생활과제의 해결

- 사고, 행동양식의 변화 

정서적 문제의 해소

- 성격구조의 심층적 변화 

 전문가

일반 교사 

상담교사, 상담심리전문가 

정신과 의사, 전문가 

 접근방법

정보, 자료 제공

- 교양강좌, 토의집단 

면접중의 조언, 교육, 

훈련, 분석 등

분석적 면접, 약물요법 등 

횟수 

1~6회 

1~20회 

1~100회 



반응형

'심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_12강_상담의 기본원리  (0) 2019.03.06
심리학_10강_청소년중독  (0) 2019.02.19
심리학_9강_청소년중독  (0) 2019.02.12
심리학_7,8강_청소년 중독  (0) 2019.02.11
심리학_6강  (0) 2019.01.28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