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심리학_9강_청소년 중독 >
* 청소년 중독으로 이끄는 요소들
1. 가정환경 (외적 요소)
- 가정 불화, 잘못된 윤리 도덕관, 유전 (유전은 거의 없음)
2. 개인 성향 (내적 요소)
- 친구, 호기심
- 청소년들은 순수해서 치료를 잘하면
충분히 변화하고 마음을 다잡을 수 있다.
하지만 변하지 않은 가정과 함께 하면
변했던 마음이 다시 예전으로 되돌아가 버린다.
- 개인 성향은 해결하기가 쉽지만
가정환경은 해결하기가 힘들다.
- 가정환경이 평범하다면
개인 성향은 치유가 가능하다.
3. 정신건강 (내적 요소)
- 열등의식, 낮은 자존감
- 정신건강은 외적 요소인 가정환경에서 따라온다.
4. 삶의 경험 (외적 요소)
- 친구, 파티, 유혹
* 부모님의 대처 방법
1. 당황하지 말고 차분히 전문가와 상담
2. 부모들의 직접 처리 보류
- 부모가 자녀의 문제를 직접 해결하겠다고 나서면
오히려 더 힘들어진다.
3. 쉬쉬하지 말것
4. 중독된 사람의 말은 신뢰성이 없다.
- 자의로 중단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 중독은 스스로 해결할 수 없다.
5. 18세 이상과 이하의 법적 대처방법이 다르다.
6. 부모의 지나친 동정 혹은 분노 표현은 금물.
- 청소년들이 부모님에게 원하는 건
평화로운 관계, 평화로운 가정생활이다.
먹여주고 재워주는 걸 원하는 게 아니다.
7. 갑작스런 통제 (인터넷, 전화 등)
- 갑자기 막으려고 하기 보단 줄이도록 하며 이해시키자.
* 사일런스 기술
- 말을 잘 할 수 있도록 잘 들어주는 기술이다.
- 상대가 말을 하면 긍정적인 제스쳐와 반응을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
- 얘길 들어주다가 상대방이 미쳐 생각하지 못한 부분을
생각할 수 있게끔 긍정적인 얘기도 조금씩 해주면서
그 말에 대해 또 새로운 대화로 유도.
* 행복한 가정만들기
- 가장 중요하며 가장 먼저 해야될 예방법이
행복한 가정만들기다.
- 행복한 부부에게선 행복한 자녀가 나온다.
- 행복한 자녀는 행복한 가정을 보며
행복한 미래를 꿈꿀 수 있다.
- 거울의 법칙
- 자녀들은 부모의 말보다는
부모의 행동을 보고 배운다.
- 부모들은 자녀에게 공부하라고 얘기하지만
정작 부모들은 티비만 보고 있다.
- 부모가 책을 들고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자녀들은 자연스럽게 따라 공부하게 된다.
'심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_11강_상담의목표 (0) | 2019.02.26 |
---|---|
심리학_10강_청소년중독 (0) | 2019.02.19 |
심리학_7,8강_청소년 중독 (0) | 2019.02.11 |
심리학_6강 (0) | 2019.01.28 |
심리학_5강 (0) | 2019.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