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심리학_7강_청소년 중독>

* 중독으로 가는 4단계

사용 Use - 남용 Abuse - 의존 Depend - 중독 Addiction

* 청소년들이 생각하는 담배

- 기분이 좋아지고 재미있다.

- 스트레스가 풀린다. 


- 잘못된 정보를 갖고 있다.

- 가정에서 좋지 않다고 얘길 해줘야 한다.

* 중독의 증상들

(중독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을 때)


- 학교 성적에 큰 변화가 온다.

- 지각이 잦아지고 장기 결석을 한다.

- 스포츠 또는 취미 활동에 관심이 줄어든다.

- 친구가 자주 바뀐다.

* 중독 에방을 위한 자녀 지도

- 가정에 룰을 정한다. 

- 금지할 것들을 정한다.


- 한번이라도 시도하지 말것.

  나중에도 할 수 있으니 호기심이라도 하지 말것.


- 두뇌 손상에 대해 알려준다.

  (미국같은 경우는 마약)


  술, 마약은 6개월 정도면 육체의 성분은 어느 정도 날아가지만

  뇌 속의 기억은 평생 남는다. 

  청소년 시절엔 경험하지 않아도 괜찮다.


- 한국 부모님들은 체면을 중시한다.

  자녀의 문제를 계속 숨기다가 곯았을 때 도움을 요청하다보니

  회복도 늦고, 이미 치명적인 손상을 입은 경우가 많다.


- 자녀가 잘못되면 부모들은 주로

  우리 애는 괜찮은 애인데 친구 잘못만나서 그런거라며

  상대방을 비난하는데 이게 청소년 문제를 야기시킨다.

< 심리학_8강_청소년 중독 >

* 중독 문제를 갖고 있는 미국 청소년 대상 설문조사

(중독에 빠지게 된 이유)


1. 부모님이 작은 문제에도 자주 싸움.


- 중독이나 청소년 문제의 대부분은 가정에 원인이 있다.


- 홀 부모님 밑에선 훌륭한 자녀가 나올 수 있지만

  싸우는 부모님 밑에선 훌륭한 자녀가 나올 수 없다.


- 부모가 자주 싸우면 청소년의 정서가 망가지고 큰 불안을 느낀다.

  이때의 청소년의 심리적 충격은

  전쟁터에서 옆에 있는 동료의 죽는 모습을 본 충격과 비슷하다고 한다.


2. 난폭한 부부 싸움.


3. 부모님의 이혼


4. 부모님의 부도덕한 직업, 행동 


- 미국이라서 이런 게 좀 많음...

- 청소년들은 맑고 순수하기 때문에

  부모님들이 숨기려해도 청소년 눈에는 다 보인다.


5. 하교 후에 집에 아무도 없는 것.


6.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을 때.


7. 돈 문제로 인한 부모님의 다툼


8. 부모님과의 언어장벽, 대화단절


9. 과잉보호, 어린 아이취급, 지나친 간섭


10. 부모님 생각을 주입


- 자녀의 생각을 무시한다.

- 자녀가 뭘 좋아하는 지, 뭘 갖고 싶어하는 지, 가장 친한 친구는 누구인 지

  이것부터 아는 게 중요.


11. 부모님의 신앙과 다른 행동과 신앙 강요.


- 부모가 종교 중독에 빠진 경우도 있다.


12. 다른 친구들과의 비교.


- 모든 사람이 비교를 싫어한다.

- 내 자녀를 다른 아이와 비교하면 둘 다 망치는 행동이다.

* 자녀를 이해

- 한국 부모의 특징 중 하나가

  큰 애와 작은 애가 싸우면 둘 다 불러서 야단친다.

  둘 다 망치는 행동이다.


- 따로 불러서 개인적으로 얘기해야 한다.


- 따로 불러서 각자 공감하고 이해해줘야 한다.

  사람은 돈주는 사람보다 이해, 공감해주는 사람을 좋아한다.


- 청소년들이 느끼는 잔소리는 

  이미 알고 있는 얘길 또 하는 것이다.


- 특히 공부, 뇌에 대해 절대 야단치지 말것.

  DNA는 부모님의 것을 그대로 타고 난다.


  야단친다고 공부잘하지는 않는다.

  뇌 성장은 3세때 끝난다.


  다만 공감, 이해로 변화, 성장할 수 있다.


- 칭찬의 원리는

  상대방의 기분을 함께 느끼고 공감하는 것.

* 중독의 원리

- 자신에게 나쁜 결과가 나타남에도 계속 되풀이한다.


- 물질 사용으로 희열을 느끼게 된다.

  희열을 싫어하는 사람은 없기에 모든 인간이 중독 가능성을 갖고 잇다.


- 중독이 되면 도파민 (신경전달물질) 사이에

  교란이 일어나면서 환각, 환청 등이 일어난다. 

  (뇌에서 변화가 일어남)


- 물질 사용이 주는 기쁨을 계속 갈망한다.

- 평소 느끼는 불안, 불편을 

  이 물질 사용이 주는 기쁨으로 해결하려 한다.


- 약물, 마약, 담배, 술, 쇼핑, 성(sex), 종교, 인터넷, 게임 중독 등...


- 중독은 스스로 조절, 해결, 치유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어른도 마찬가지다.

반응형

'심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_10강_청소년중독  (0) 2019.02.19
심리학_9강_청소년중독  (0) 2019.02.12
심리학_6강  (0) 2019.01.28
심리학_5강  (0) 2019.01.28
심리학_4강  (0) 2019.01.25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