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심리학 4강 >
* 인간에 대한 기본 관점
1. 실현가능성
- 3강 마지막에 했었음. 이어서...
- 사람은 어떤 관점으로 보느냐에 따라 가치관이 달라진다.
- 내담자를 바라보는 상담사의 시각 :
인간중심적 상담에서 상담자는 전문적인 기법을 동원해서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도록 촉진, 격려, 도와주는 역할이다.
- 고기를 주지 말고 고기를 잡는 방법을 알려주라는 것과 비슷.
- 내담자는 이미 잠재능력과 가능성이 있으니
조금만 도와준다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는 기본적인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
(문제 해결 능력은 이미 내담자가 갖고 있다.)
- 사람은 자생력이 있고 능력이 있다.
각자 능력의 깊이가 다를 뿐 모두 공평하게 갖고 있다.
- 스스로 잠재능력과 가능성을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담사가 내담자를 도와 발견하게 도와줘야 한다.
2. 여기와 지금
- 칼 로저스는 '지금', 그리고 '여기'에서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느냐가
행동을 결정하는 유일한 요소라고 봄.
- 행동을 결정하는 유일한 요인 :
현재 (지금)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느끼느냐.
- 어제는 어제, 오늘은 오늘이다.
오늘의 나, 즉 현재의 나를 결정짓는 것은 어제 가졌던 비관적인 생각이 아니라
바로 지금의 현상적 장 (Phenomenal field)에서 가지고 있는 나와 세상에 대한 희망임.
* 심리적 문제의 발생 과정
- 심리적 문제의 발생 과정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동안
자신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왜곡하거나 부정하기 때문이다.
1. 긍정적 존중과 욕구와 자기개념
- 사람들은 세상에 태어난 후 성장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나는 어떤 사람인가?'에 관한 물음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물음에 대해 내린 답이 그 사람의 자기개념이된다.
- 나라는 개념 : '나는 어떤 사람인가'를 찾아가는 성장과정 속에서 내린 결론이 '나'라고 인식.
- '나는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답은 인간관계에서 찾는다.
건강한 인간관계 속에서 건강한 답을 찾을 수 있다.
- 어린 아이가 맺는 인간관계는 부모와의 관계가 크다.
부모를 보면서 나를 정립한다.
부모가 나를 존중해주면 나도 남을 존중해준다.
- 성장과정이 정말 중요하다.
무엇을 보고 건강한 자화상을 찾게 될 지가 중요하다.
- 알코올 중독 집안에서 자란 아이는 알코올 중독자로 자라기 쉽다.
(안 그럴 확률도 있긴 하지만 될 확률이 훨씬 높다.)
- 한 아이가 미술시간에 크레파스를 준비해오지 못했다.
그러자 선생님은 아이를 혼내면서 없으면 훔쳐서라도 가져오라고 했다.
이 말로 인해 자신의 자화상이 깨지고 자존감이 떨어졌다.
이 말이 성인이 될 때까지 아이를 지배할 수 있다.
- 보통 사람들은 '나는 괜찮다', '나는 괜찮은 사람이다.' 라는
생각을 유지하려는 생각의 경향이 있다.
이것은 자기에 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하려는 욕구다.
- 자신을 긍정적인 존재로 여길 수 있기 위해선
다른 사람으로부터 긍정적 존중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 자기개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것은
자신을 대하는 다른 사람들의 태도이며,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긍정적으로 대하면 자기개념 또한 긍정적일 수 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부정적 평가를 받게 되면 자기기념은 부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 나를 바라보는 다른 사람의 시선, 태도가 내 개념을 만든다.
긍정적 평가를 받으면 긍정적 개념으로 나를 정립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