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센척하는 아이들>
* 센척하는 아이들
- 선생님을 괴롭히거나 다른 아이들을 괴롭힌다.
- 그렇게 강하지 않은 아이인데도 선생님에게 대드는 경우도 있다.
- 선생님이나 다른 아이들의 약점이 있으면 그 약점을 활용해 공격한다.
- 아이들은 그런 아이들을 겉으로는 영웅 취급을 한다.
- 아이의 센 척은 반 아이들이 '자기를 바라보고 있음'을 의식해서 나온 행위다.
- 아이들은 자신들의 세계(자신들의 심리, 동기 등)를 모른다고 생각하고 그걸 이용한다.
어른들이 자신들 앞에서 어쩔 줄 멀라하는 걸 즐긴다. (주로 선생님, 부모님)
- 따라서 아이들의 심리게임과 욕망을 잘 알고 있다는 걸
시간을 들여 충분히 설명해줄 필요가 있다.
- 장황하게 설명하지 않더라도 아이들의 동기와 인정 욕망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걸 아이들이 느끼게 해야한다.
* 인정욕망
-아이들이 이러는 행위는 주로
자신의 '인정욕망'을 채우기 위한 일종의 전략 전술일 수 있다.
- 일부러 그렇게 함으로써 인정을 받아 아이들로부터 위세를 부리기 위한 행위.
- 센 척하는 행동이 친구들에게는 무서운 아이,
선생님에게는 반항하는 아이로만 보일 뿐이라는 걸 알게 해야 한다.
- 하지만 선생님과 일대일로 만나 얘기하면 고분고분해지고 상담에 응한다.
- 일대일로 대면할 땐 굳이 센 척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 고분고분함으로써 선생님의 인정을 받으려 한다.
* 인정욕망에 집중하는 이유
- 인간은 사회적 존재다.
- 타자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하면 존재감이 떨어지고,
열등감, 수치심, 굴욕감 속에서 살아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 사회가 안정적이고 각자 자기의 위치와 역할에 만족한다면 인정투쟁이 심하진 않을 것이다.
- 근대 이후 사회가 개인주의화가 되고, 유동적이게 되었다.
-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인정투쟁에 몰입하게 되었고,
자신이나 타인이 가지고 있는 인정욕망에 더욱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었다.
- 특히 타인과 관계할 때 인정욕망이 두드러진다.
- 서로를 더욱 비교하고 타자의 시선을 의식하게 되었다.
- 아이들이 쾌락, 이익을 좇는 것 같지만 그것 또한 인정욕망으로 환원될 수 있다.
- 이해, 사랑, 관심을 요구하는 것 같지만 그건 인정의 대용품이 될 뿐이다.
- 대부분의 아이들은 이해, 사랑, 관심보다는
타인이 자신의 모든 행위, 성격, 취향 등을 그저 인정하고 찬양해주기를 바란다.
- 현실에선 가치있는 것이 인정받는 것이 아니라
인정받는 것 자체가 가치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 인정받는 가치와 인정받지 못한 가치가 있다면 인정받는 가치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 무가치한 것도 인정을 받으면 가치있는 것이 된다.
- 인정받는 대상과 내용은 중요하지 않다. 그저 인정의 양과 수준이 중요할 뿐.
- 인정을 받는다는 것 자체가 출세의 지름길, 인기, 명예욕, 다른 사람보다 우월하다는 만족감,
사람대접을 받을 수 있다는 안도감, 지배욕, 권력욕 등의 의미가 될 수 있다.
* 인정을 못받으면 죽은 것이나 다름없다.
- 공부와 성적을 통한 인정은 경우에 따라 또래들로부터의 단절을 겪어야 한다.
- 사회에서는 스타를 만들어내고 개인을 스타와 동일시하는 걸로 인정을 대량생산한다.
- 사회에 있는 수많은 직업들 중 아이들은 자신의 모델을 흉내내려 한다.
그러나 그 길에서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아이는 많지 않다.
그 사실을 알아갈 수록 아이들의 희망은 줄고 습관처럼 자기들이 살아왔던 대로 살아간다.
- 아이들은 인정의 총량은 정해져있다고 믿고 잇어서
누군가가 인정을 받으면 자신에게 돌아올 인정의 양은 줄어든다고 생각한다.
- 결국 자신의 행위가 자신이 좋아서 한 건지 인정욕망때문에 한 건지 모를 지경이 된다.
- 인정욕망은 욕망의 일부가 아닌 인간에게 명령을 내리는 명령 체계의 일부가 되었다.
- 인정욕망에 억압당하고 있다.
* 아이들의 인정 세계
- 어른과 달리 아이들은 자기가 인정받는 세계에 집착한다.
- 자기를 인정해주지 않는 세계와는 담을 쌓는다.
- 다른 것을 부인함으로써 자신을 인정하려 하며
어떤 것이든 경쟁을 하고 편을 가른다.
- 1. 가정에서의 인정 2. 학교와 친구들로부터의 인정.
'독서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함께 듣던 밤 (0) | 2019.04.22 |
---|---|
10대 마음보고서_3 (0) | 2019.04.04 |
10대 마음보고서_1 (0) | 2019.04.01 |
청춘심리상담_3 (0) | 2019.03.21 |
청춘심리상담_2 (0) | 2019.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