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독서 기록

10대 마음보고서_3

Grace-J 2019. 4. 4. 14:28
반응형

* 끝없는 인정욕망

 

- 인정욕망은 지속되고 강화되는데 

  인정과 지위는 언제든지 없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다들 항상 긴장해있다.

- 그 인정은 지속적으로 확인되어지길 원한다.

  왜냐면 주변 환경이나 비교 대상이 계속 변화하기 대문이다.

 

*폭력과 따돌림

 

- 괴롭힘과 폭력 자체가 아이들에게는 하나의 능력으로 인식된다.

- 이건 매스컴의 영향, 심각한 사회 부조리, 반복해서 경험한 사실 등에 영향을 받았다.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는 자신의 생활 경험)

 

- 일부 아이들은 따돌림을 해야만 생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따돌림은 생존과 인정을 위한 투쟁의 원인이면서 결과다.

- 어떤 아이는 과시가 곧 자신의 생존이 도기도 한다.

 

- 이런 아이들의 인정이 무너지면 좌절감에 빠져 생존의욕마저 잃고 말 것이다.

 

* 집단화

 

- 권력 현상은 스타일이나 문화(생활양식)의 갈등으로 보여질 때가 있다.

- 스타일, 문화는 자기 정체성이거나 자기중심주의를 뜻하기도 한다.

 

- 다양한 아이들이 한 교실에서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려 한다.

- 자신의 특기가 무시당하거나 인정받지 못한다는 것은

  곧 교실에서 아이들에게 방해받는 다는 뜻이다.

 

- 아이들은 어떻게해서든 집단화한다. (또래 집단화)

- 집단화 : 친구관계를 강화, 소속감을 느끼기 위해, 심심할때 어울리기 위해 등...

- 집단에서 배제된 아이는 따돌림을 당한다고 생각한다.

 

- 자신의 집단이나 위치가 다른 집단과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들은 자신의 문화를 지배적인 문화로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 서로에 대해 어느 정도 인정한다고 생각하면 그 이상 욕심내지 않는다.

 

* 또래집단의 형태

 

- 인정투쟁의 형태에 따라 또래 집단도 나뉜다.

- 좀 노는 애들, 범생이들, 이도 저도 아닌 애들 등..

- 아이들은 자기를 인정해주지 않는 세계와는 담을 쌓는다.

 

- 아이들은 다른 것을 부인함으로써 자신을 인정한다. 

  아무데서나 경쟁하고 편을 가른다.

 

- 여기서 인정받지 못해도 다른 집단에서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놀이를 통해 성장하는 아이들

 

- 아이들은 장난, 논다는 것을 통해 많은 것을 터득하고

  자신의 정체성, 지위와 역할을 터득한다. 

 

- 그러나 아이들은 장난과 장난이 아닌 괴롭힘을 구별하지 못한다.

- 놀이를 통해 사회화되고 있다.

- 놀 줄 알아야 하고,

  주변 아이들이 장난을 걸 때 장난으로 받아줄 수 있어야 사회화된다는 것이다.

 

- 이게 아이들에겐 강압적이며 두려움으로 강요되고 있따.

 

- 아이들은 사귀고 어울리는 방법을 터득하기 위해, 더 나은 위치에 서기 위해

  다양한 장난을 고안하고 장난에 같이 어울린다.

- 장난에는 농담, 별명 등 다양한 것들이 있는데 이게 점점 커지고 유행이 되면서

  여기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는 피해자가 된다.

- 따돌림 자체가 장난이나 게임처럼 시작되는 경우도 많다.

 

- 장난, 연기, 놀이라고 하지만 사회 성격을 형성하고 도덕성 발달을 멈추게 하며

  고차원적인 욕망의 발생을 막는다.

 

* 폭력은 사회화의 한 과정

 

- 폭력을 아이들은 사회화 과정으로 본다면 

  어른들은 아이들 간의 다툼과 경쟁을 성숙하는 과정으로 생각한다. 

  (인간은 경쟁할 수밖에 없는 존재, 성장통, 사회화의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 아이들은 폭력적이지 않거나 폭력에 대한 무감각과 타협을 키우지 않으면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인권을 짓밟고 폭력을 인정하는 게 아이들의 사회 정체성의 일부가 되고, 제도화되고 있다.

  어른들에게 잘 보이진 않지만 아이들은 내면화하고 있다.

 

* 절대적인 선악을 알려줘라.

 

- 인정받기 위한 전략전술을 바꿔보라고 권하기도 한다.

- '시'는 우리가 지향해야 할 초월적인 세계를 정서적으로 전달해줄 수 있고 공감을 이끌어 낼 수도 있다.

- 인정투쟁과 인정욕망에서 벗어나기는 쉽지 않지만

  우리가 지향할 수 있는 세계가 있음을 공유하는 것은 인정투쟁과 인정욕망을 줄일 수 있는 길이다.

 

- 시는 선한 방법으로 자신의 인정욕망을 추구할 수 있는 이상적인 세계를 그리워하고

  실천의지를 다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또한 평화 의지를 갖고 있는 아이들에게는 지지나 마음의 선물이 될 것이다.

 

- 인간에게는 인정욕망 이외에도 평화욕망과 의미의 욕망이 있음을 알려줄 필요가 있고

  그것을 전달하는 형식으로 시가 가장 적절하다.

 

* 가정 속의 인정욕망

 

- 가정에서도 인정욕망이 많다.

 

- 아이들은 학교에서 인정받는 방법과 가정에서 인정받는 방법은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다.

- 아이들은 학교에서 터득한 인정투쟁의 방법을 가족 간의 인정투쟁에 활용하기도 한다.

 

- 학교, 가정에서도 인정받지 못한 아이가 가장 불쌍하다.

 

- 학교폭력 피해자가 가족으로부터도 못난 아이 취급을 받으면

  그 아이는 세상에서 타자의 시선으로부터 숨을 곳이 없게 된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자신을 멸시하고 무시하는 것처럼 느껴질 것이다.

 

- 가정은 아이들의 최후의 보루임을 부모는 알아야 한다.

반응형

'독서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크릿  (0) 2019.05.09
우리가 함께 듣던 밤  (0) 2019.04.22
10대마음보고서_2  (0) 2019.04.03
10대 마음보고서_1  (0) 2019.04.01
청춘심리상담_3  (0) 2019.03.21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Total
Today
Yesterday